티스토리 뷰

IRP 수익률 TOP 펀드 소개: 지금 투자할 만한 퇴직연금 상품은?

📈 IRP 투자, 수익률이 전부는 아니지만… 중요합니다

IRP는 장기 자산 운용 상품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원금 보장’에만 몰두하기보다는, 인플레이션을 이겨내고 실질 수익을 낼 수 있는 펀드 선택이 필요하죠. 특히 은퇴까지 5~10년 이상 남은 분들은 적극적 투자 전략도 고려해야 합니다.


🥇 IRP 수익률 TOP 펀드 리스트 (2025년 기준)

*데이터 출처: 2025년 3월 기준, 금융투자협회 / 주요 증권사 IRP 공시 자료 기준
*수익률은 과거 수익이며,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1. 한국투자TDF2045(채권혼합형)

  • 3년 평균 수익률: 약 37%
  • 1년 수익률: 약 11%
  • 자산 배분: 주식 약 70%, 채권 약 30%
  • 포인트: 나이에 따라 자산 자동 조절 → 은퇴 시점까지 유지 가능

👉 TDF는 IRP 계좌에서 가장 인기 많은 상품군입니다. 직접 투자에 자신 없으면, TDF가 해답!


2. 미래에셋 글로벌그로스 펀드 (주식형)

  • 3년 평균 수익률: 약 45%
  • 1년 수익률: 13~15%
  • 포인트: 미국·중국·인도 등 글로벌 성장주 중심 투자

👉 고수익형 펀드를 IRP에 담고 싶다면 이 펀드가 대표 주자입니다. 다만, 변동성도 큰 편!


3. 삼성 누버거버먼글로벌배당인컴 펀드 (주식혼합형)

  • 3년 평균 수익률: 약 30%
  • 1년 수익률: 약 9%
  • 포인트: 글로벌 고배당주 중심 + 안정적 현금 흐름

👉 배당 좋아하시는 분들께 딱! IRP에서 배당+성장 동시에 노릴 수 있는 구성


4. 신한BNPP 스마트로우볼 펀드 (국내주식형)

  • 3년 평균 수익률: 약 28%
  • 1년 수익률: 약 8.5%
  • 포인트: 변동성 낮은 우량주 중심
    👉 국내 주식 중에서도 리스크가 낮은 편.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적합

5. KB스타코어리츠펀드 (리츠/대체투자형)

  • 3년 평균 수익률: 약 21%
  • 1년 수익률: 약 7%
  • 포인트: 상업용 부동산 리츠 중심 투자 + 안정적 분배금 수익

👉 IRP에 부동산 간접투자도 가능하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 유형별 추천 펀드 요약

투자성향                    펀드명                                                           특징
공격형 미래에셋 글로벌그로스 성장성 중심, 고수익 가능
중립형 한국투자TDF2045 자동 리밸런싱, 편리함
안정형 신한 스마트로우볼 저변동 우량주 중심
배당형 삼성 글로벌배당인컴 현금 흐름 + 성장성
대체투자 KB스타코어리츠 리츠 기반, 안정 수익

💡 이런 분들께 IRP 펀드 투자가 꼭 필요합니다

✅ 퇴직금만 넣고 방치하고 계신 분
✅ 물가 상승률 이상으로 수익 내고 싶은 분
✅ TDF 같은 자동 분산형 펀드에 관심 있는 분
✅ 주식형 펀드와 예금형 상품을 혼합해서 포트폴리오 구성하고 싶은 분


🧠 IRP 펀드 투자 전 꼭 알아두세요!

  • 원금 비보장 상품은 수익도, 손실도 가능
  • 55세 이전 중도 인출은 세금 불이익
  • 3년 이상 장기 투자로 접근하는 게 유리
  • 수익률은 자주 체크하고, 연 1회 리밸런싱 추천!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IRP에서도 ETF 투자가 가능한가요?
A1. 네, 증권사 IRP에서는 일부 ETF 투자가 가능합니다. 단, 퇴직연금 전용 ETF만 가능하므로 상품 종류는 제한적입니다.

Q2. 펀드 수익이 나면 IRP 안에서 바로 인출할 수 있나요?
A2. 원칙적으로 IRP는 55세 이후 연금 수령이 원칙이며, 중도 인출 시 세제 불이익이 있습니다.

Q3. IRP 펀드는 언제든 변경 가능한가요?
A3. 네! 펀드는 수수료 없이 언제든 변경 가능합니다. 단, 일부 상품은 환매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한 줄 정리

"IRP에 어떤 펀드를 담느냐가 내 노후 소득을 좌우합니다."

지금 고르는 펀드 하나가 10년 뒤 여러분의 ‘제2의 월급’이 될 수도 있어요.
매년 수익률 높은 펀드는 바뀔 수 있지만, 꾸준히 확인하고 리밸런싱하는 습관만큼은 꼭 가져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