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GTX-C노선 총정리 – 정차역, 노선도, 개통 시기, 수혜지역까지 (2025년 기준)


1. GTX란?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시속 1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지하 고속열차로,
서울 도심 ↔ 수도권 외곽을 20~30분 내에 연결하는 초고속 지하철 개념입니다.

  • 기존 지하철보다 평균 속도 3배 이상 빠름
  • 수도권의 교통 문제 해결 + 부동산 가치 재편 중심축
  • A·B·C 노선 중 C노선은 남북 연결 주축


2. GTX-C노선 개요

항목                                    내용
노선명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총 길이 약 74.2km
정차역 수 10개역
최고 속도 시속 180km
운행 시간 전체 구간 약 40분 예상
운영 형태 KTX/ITX와 병행 활용, 일부 구간 공유


3. GTX-C노선 정차역 (2025년 기준 확정안)

양주 덕정 ↔ 수원 간 남북 연결

  1. 덕정 (경기 양주)
  2. 의정부
  3. 창동 (서울 도봉구)
  4. 광운대 (노원구)
  5. 청량리 (동대문구)
  6. 삼성 (강남구)
  7. 양재 (서초구)
  8. 과천
  9. 금정 (군포)
  10. 수원 (경기 남부 중심)

💡 삼성~청량리 10분 예상! 기존 40분 거리 대폭 단축


4. 노선도 (텍스트 기준 노선 흐름)

덕정 ─ 의정부 ─ 창동 ─ 광운대 ─ 청량리 ─ 삼성 ─ 양재 ─ 과천 ─ 금정 ─ 수원
  • 서울 북부에서 남부까지 직통 연결
  • 경기 북부~남부 핵심 도심 간 시간 절약 극대화

5. 개통 시기와 공정 현황 (2025년 기준)

구분                           내용
착공일 2023년 하반기
개통 목표 2030년 전면 개통 예정
운영 방식 민자사업 (현대건설 컨소시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주요 이슈 노선 조정 및 정차역 추가 요구 논의 중
 

※ 2024년 착공 확정, 일부 정차역 추가 검토 가능성 있음


6. GTX-C노선 수혜지역 & 투자포인트

✅ 1) 서울 도심 접근성 개선

  • 의정부, 양주 등은 기존에 1시간 이상 걸리던 강남 접근이
    30분 이내로 단축
  • 청량리~삼성 구간은 10분 내외,
    청량리역 역세권 재개발 탄력

✅ 2) 경기 남부 재조명

  • 수원·금정·과천 일대는
    → 강남 접근성 강화로 분양가 및 전셋값 상승 가능성 큼
  • 과천청사역은 강남권 직통수혜로
    → 신축 아파트 프리미엄 기대

✅ 3) 환승 허브 중심지로 도약

  • 삼성역 (GTX-A·C 환승 예정)
  • 청량리역 (KTX + GTX + 지하철 1·2호선 연계)
    → 다중 노선 연결로 유동 인구 폭증 예상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GTX-C노선은 A노선과 무엇이 다른가요?

A. A노선은 동탄~파주, C노선은 덕정~수원 구간입니다.
→ 노선은 별개이며, 일부 정차역(삼성역 등)에서 환승 가능


Q. 정차역이 더 늘어날 수도 있나요?

A. 현재도 왕십리역, 인덕원역 등 추가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타당성 조사 및 사업자 협의 후 반영될 수 있습니다.


Q. 공사 중 교통 불편은 없나요?

A. 지하화 공사라 지상 교통 영향은 적으나,
역세권 공사 지역은 일부 통행 불편 가능성 있음


결론처럼 정리하면

  • GTX-C노선은 수도권 남북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장 효율적인 교통 축이며,
  • 특히 양주~의정부~청량리~삼성~수원까지 직통 연결되는 노선 구조로
    출퇴근 시간 단축 + 지역 가치 상승 + 환승 편의성 향상이라는 3박자를 갖췄습니다.
  • 부동산 투자 관점에서는 삼성·청량리·양주·수원 등 핵심 정차역 인근이 중장기 유망지역으로 분류됩니다.

2030년 개통이지만, 부동산 시장은 이미 GTX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GTX는 미래가 아니라, ‘진행 중인 현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