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 해외직구 관세 총정리 – 관세 기준, 납부 방법, 통관 절차, 세금, 면세한도, 개인통관고유번호까지 완벽 가이드

아마존, 알리익스프레스, 쿠팡글로벌… 해외직구 한 번쯤 해보셨죠? 그런데 제품보다 더 복잡한 게 통관과 세금입니다.
얼마까지 면세고, 언제 세금을 내야 하고, 어떻게 내는지, 개인통관고유번호는 뭔지
딱! 정리해드립니다.


✅ 1. 해외직구 면세 기준 (2025년 기준)

📌 150달러 이하(미국은 200달러 이하) 상품은 면세!

  • 일반 국가: 150달러 이하 (배송비·보험료 포함 금액 기준)
  • 미국 직구 한정: 200달러 이하 면세 (한미 FTA 혜택)

단, 다음은 면세 예외!

  • 주류, 담배, 향수 → 무조건 과세
  •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일정 수량 초과 시) → 과세 대상
  • 합산 과세 주의: 같은 날 같은 수령인의 여러 건 합산 금액이 면세 한도를 넘으면 전부 과세됩니다.

💰 2. 관세·부가세·기타 세금 종류

세금 종류:

관세 수입 상품에 부과되는 기본 세금
부가가치세 물건 가격 + 관세의 10%
개별소비세/기타세 일부 품목 (고가 가방, 향수 등)에 적용
 

예시:

  • 200달러 상품 (면세 초과)
  • 관세 8% + 부가세 10% = 약 18% 세율 적용

💡 대부분의 제품은 관세 없이 부가세(10%)만 부과되지만, 제품군에 따라 달라집니다.

🎯 Tip: 세금은 상품 가격 + 운임 + 보험료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3. 세금 납부 방법

어떻게 세금 내나요?

  • **택배사(통관 대행 업체)**가 관세청으로부터 세액 고지 → 문자나 앱으로 알림
  • 카드/간편결제/계좌이체로 납부 가능
  • 미납 시 배송 지연 또는 반송

 

✔️ CJ대한통운, DHL, FedEx, UPS, 우체국 EMS 등 대부분 자동 안내 제공

 


📦 4. 해외직구 통관 절차 요약

  1. 해외 쇼핑몰에서 주문
  2. 수입신고 및 세관 통관 절차 시작
  3. 개인통관고유번호 기입 필수
  4. 세금 발생 시 납부 안내
  5. 세관 통과 후 국내 배송 시작

기간은 보통?

  • 미국 → 한국: 약 5~10일 (세관통과 포함)
  • 중국, 일본 등 근거리: 3~7일


🔐 5. 개인통관고유번호란?

해외직구 시 수입자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입니다. 주민등록번호 대신 사용해 개인정보 보호와 통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발급 방법:

  • 관세청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사이트 → www.customs.go.kr
  • 휴대폰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발급

필수 입력 장소:

  • 아마존, 아이허브, 알리 등 직구 사이트 주소 작성란 또는
  • 배송대행지 신청서 주소 입력 시 필수 기재

✅ 같은 번호를 계속 사용해도 됩니다 (1인 1번호)

 


🚫 주의사항 & 꿀팁

❗ 합산 과세란?

  • 같은 날 같은 이름 + 주소로 통관되는 물품의 총액이 면세 기준을 넘으면 전부 과세됩니다.
    → 예: 각각 100달러짜리 두 건을 같은 날 받으면 200달러로 간주 → 전부 과세

❗ 품목별 수량 제한

  • 건강기능식품: 6병 이하
  • 화장품: 1종당 2개, 총 6개 이하
  • 의약품: 개인용 기준 소량만 허용

❗ 반품 시 세금 환급?

  • 정식 반품 처리 + 수입신고 취소 시 가능
  • 관세청 또는 택배사 통해 별도 신청 필요


📋 요약 정리표

 

면세 기준 150달러 (미국은 200달러) 이하
세금 종류 관세, 부가세, 개별소비세 등
세금 납부 방법 택배사 통해 문자/앱으로 납부
통관 절차 요약 주문 → 통관신고 → 세금납부 → 배송
개인통관고유번호 필수 입력, 관세청 사이트에서 발급
합산 과세 주의 같은 날, 같은 사람 이름이면 금액 합산됨
예외 품목 과세 향수, 담배, 의약품, 건강식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