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재산세·종합부동산세(종부세) 총정리
누구는 억울하고, 누구는 절세합니다… 세금은 ‘정보 싸움’입니다
“내 아파트는 작년에 비해 세금이 왜 줄었지?”
“1주택인데도 종부세 대상인가요?”
“공정시장가액비율? 그게 뭐에요?”
매년 부동산 보유세 시즌만 되면
📌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의 개념조차 헷갈리는 분들 많습니다.
2025년에는 특히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대폭 조정되고,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세부담 경감 정책도 이어지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 재산세와 종부세의 개념 차이
✅ 2025년 최신 기준
✅ 납부 시기와 계산 방식
✅ 1주택자/다주택자별 전략
까지 전문가 관점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재산세 vs 종합부동산세, 뭐가 다른가요?
과세 대상 | 모든 부동산 | 공시가 총합이 기준 초과 시 |
부과 주체 | 지방자치단체 | 국세청 |
세금 용도 | 지방세 → 지자체 재원 | 국세 → 중앙정부 재원 |
납부 시기 | 7월(주택), 9월(토지) | 12월 |
📌 재산세는 기본세금, 종부세는 '보유세 중 추가 과세' 개념입니다.
🏡 2025년 재산세 최신 정보
▪ 과세 기준일
2025년 6월 1일 현재 주택 보유자
▪ 공시가격 기준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
→ 재산세만 부과 -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시 종부세 대상 가능
▪ 공정시장가액비율
2025년 **85%**로 유지
(※ 정부는 장기적으로 100%까지 올릴 계획이었으나 속도 조절 중)
▪ 세율 구조 (1주택 기준)
6,000만 원 이하 | 0.1% |
6,000만~1억5천만 원 | 0.15% |
1억5천만~3억 원 | 0.25% |
3억 원 초과 | 0.4% |
💡 ※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공시가 9억 원 이하 + 고령자/장기보유자 감면 적용 가능
💰 2025년 종부세 핵심 요약
▪ 과세 기준
- 공시가격 합산 12억 원 초과(1세대 1주택자)
- 공시가격 합산 6억 원 초과(다주택자, 법인)
📌 단독 명의 주택 외에 공동명의인 경우,
각자 6억 원씩 공제 후 과세 여부 판단
▪ 공정시장가액비율
2025년 **80%**로 완화 (2024년 90% → 하향 조정)
▪ 세율 구조
3억 원 이하 | 0.5% | 0.6% |
3~6억 원 | 0.7% | 0.9% |
6~12억 원 | 1.0% | 1.4% |
12억 초과 | 최대 2.0% | 최대 6.0% |
💡 종부세는 12월 납부이며, 고지서는 11월 말~12월 초 발송됨
📈 절세 포인트 체크리스트
✅ 1. 1세대 1주택 요건 유지가 핵심
→ 배우자 명의 분산보유 시 조정 필요
→ 이사 시에도 세대분리 여부 체크
✅ 2. 고령자 + 장기보유 감면 중복 적용 가능
→ 만 60세 이상 + 5년 이상 보유 시 최대 80% 감면
✅ 3. 공시가격 하향 조정 요청 가능
→ 시세 대비 지나치게 높을 경우 이의신청 활용
✅ 4. 6월 1일 이전 매도 시 종부세 회피 가능
→ 매도일 기준이 아닌 소유 기준일(6월 1일) 기준
📆 납부 일정 요약 (2025년 기준)
재산세 (주택분) |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 7월 초 |
재산세 (토지분) |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9월 초 |
종부세 | 2025년 12월 1일 ~ 12월 15일 | 11월 말 |
💡 인터넷 납부는 위택스(www.wetax.go.kr), 홈택스에서도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FAQ)
Q. 나는 1주택자인데 공시가 10억이에요. 종부세 내야 하나요?
A. 네. 1세대 1주택 공제는 12억 원까지입니다.
10억 원이라면 재산세만 해당되고, 종부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Q. 재산세와 종부세 둘 다 내나요?
A. 네. 재산세는 기본, 종부세는 일정 기준 초과 시 추가로 납부합니다.
Q. 부부 공동명의면 어떻게 계산되나요?
A. 공동명의라면 각자 공시가의 절반씩 계산하고,
그 각각이 6억 원 이하라면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Q. 공시가격이 너무 높아요. 이의신청 되나요?
A. 매년 4~5월 사이 국토부에 공시가격 이의신청 가능
→ 시세 증빙자료가 있으면 일부 인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