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 총정리
누구는 쉬고, 누구는 출근한다? 혼돈의 공휴일 해설서!
대체공휴일, 이제 익숙하지만
📌 적용 대상은 아직도 헷갈리는 분 많으시죠?
“나는 회사원인데 쉬어도 되나?”
“공무원은 대체공휴일 무조건 쉬나요?”
“어린이집, 학교는 대체공휴일에도 운영하나요?”
2025년에도 설날, 어린이날, 추석 등
대체공휴일이 발생할 가능성 있는 날이 여러 번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대체공휴일이 발생하는 조건
✅ 적용 대상과 예외
✅ 직종별 대체공휴일 적용 유무
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대체공휴일이란?
공휴일이 일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그 다음 평일을 추가로 쉬는 제도
📌 2021년부터 민간기업까지 확대 시행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명시됨
📅 2025년 대체공휴일 발생 가능일
5월 5일 (일) | 어린이날 | ✅ 5월 6일 (월) 대체공휴일 |
9월 7일 (일) | 추석 연휴 첫날 | ✅ 9월 10일 (화) 대체공휴일 |
10월 3일 (금) | 개천절 | ❌ 해당 없음 (단일 공휴일) |
10월 9일 (목) | 한글날 | ❌ 해당 없음 |
✅ 요약: 2025년엔 최소 2일 이상 대체공휴일 적용 예정
🏛️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
공무원 | ✅ 전면 적용 |
공공기관 | ✅ 동일 적용 |
민간기업 (관공서 공휴일 적용 사업장) | ✅ 적용 |
민간기업 (규정 없는 사업장) | ❌ 사규 따름 |
어린이집 (국공립) | ✅ 대부분 휴원 |
어린이집 (민간) | ❓ 원장 재량 |
초중고등학교 | ✅ 교육부 지침 따라 휴교 |
대학교 | ❌ 학사일정 따름 (개별 확인 필요) |
프리랜서, 자영업자 | ❌ 개인 일정 |
🧾 민간기업 적용 기준 상세
대체공휴일이 무조건 적용되지 않는 대표적인 예시는?
👉 근로계약서/취업규칙에 ‘관공서의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한다’는 내용이 없는 경우
취업규칙 O | ✅ 유급휴일로 적용 |
취업규칙 X | ❌ 평일로 간주, 출근 |
단체협약 O | ✅ 단체협약 우선 적용 |
연차 대체 합의 시 | ❌ 출근 가능 |
💡 현실에선 중견·대기업은 대부분 적용,
중소기업은 사규 따름
🏫 학교와 어린이집은 쉬나요?
초·중·고등학교 | ✅ 교육청 지침 따라 휴교 | |
국공립 어린이집 | ✅ 서울·지자체 기준 휴원 | |
민간 어린이집 | 🔄 원장 재량 / 학부모 공지 확인 | |
유치원 | ✅ 대부분 휴원 | |
직장 어린이집 | ❓ 기업 내 자체 방침 따름 |
📌 어린이집은 매년 4월~5월, 9월 추석 전 사전 안내문 확인 필수
🧠 대체공휴일 제도에 대한 오해 Q&A
Q. 대체공휴일에도 출근하면 수당 나와요?
A. 네. 회사에서 대체공휴일을 유급휴일로 인정했는데 출근했다면 → 휴일근로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Q. 회사가 대체공휴일 쉬자고 하면 연차 깎이나요?
A. 아니요! 별도 유급휴일이므로 연차 차감 X
Q. 학교는 대체공휴일에 무조건 쉬나요?
A. 교육부 지침상 공휴일과 동일하게 처리 → 대부분 휴교
Q. 프리랜서, 자영업자는요?
A. 자유 일정입니다.
단, 거래처나 클라이언트가 쉬면 사실상 일도 중단되는 경우가 많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