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카오톡 ‘미니홈피’ 기능 베타 오픈 – 싸이월드 부활인가?
카카오가 2025년 7월 1일부터 일부 사용자 대상으로 '프로필 스토리'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기존 카카오톡의 단순한 프로필 기능에 피드 + 음악 + 감성 글귀 + 일상 공유 요소를 결합한
‘확장형 소셜 프로필 서비스’를 선보인 거죠.
이 기능이 공개되자마자 “이거 완전 싸이월드 아니야?”라는 반응이 쏟아졌고,
실제로 2030·4050 사용자층에서 향수를 자극하며 빠르게 입소문이 퍼지고 있습니다.
1. 카카오톡 ‘프로필 스토리’ 기능, 뭐가 달라졌나?
사진첩 | 프로필 1장만 가능 | 앨범 형식으로 다중 업로드 가능 |
배경음악(BGM) | 없음 | 개별 프로필에 배경음악 설정 가능 |
글쓰기 | 상태메시지 한 줄 | 글귀·일기·감성 포스팅 가능 |
공개범위 설정 | 전체공개/비공개 | 일촌공개/친구공개/전체공개 등 세분화 |
👉 요약하면, 싸이월드 감성과 인스타 감성을 둘 다 합쳐놓은 구조입니다.
2. 왜 지금 이 시점에 ‘미니홈피 감성’을 다시 꺼냈을까?
- Z세대 + MZ세대가 자기 표현 욕구 높음
- 인스타그램·스레드·틱톡 같은 글 중심 소통 공간 부족
- 카카오톡 이용자 수는 많지만, SNS 기능은 약했다는 지적
- 싸이월드 부활 실패 이후, 감성 레트로 트렌드가 다시 주목받는 분위기
카카오는 “일상 속 이야기를 따뜻하게 공유하는 공간”이라고 밝혔지만,
실제 유저들은 “이거 싸이월드 리뉴얼 아니냐”며 그리운 UX와 감성에 열광하는 중입니다.
3. 유저 반응: “이건 싸이월드와 인스타그램의 하이브리드”
- “BGM 켜놓고 글 쓰는데 진짜 추억 쏟아진다”
- “도토리는 없지만 분위기는 있다”
- “진짜 싸이처럼 방명록도 추가해주면 안 됨?”
특히 4050 사용자층은 "우리 시대 감성이 돌아왔다"며
자녀와 함께 사용하는 SNS로 기대 중이고,
Z세대는 ‘신기한 신기술’처럼 받아들이며 흥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4. 앞으로의 관건은 ‘지속성’과 ‘커뮤니티화’
기능은 좋은데, 문제는 **“카톡 안에서 SNS 기능을 굳이 쓰겠냐”**는 회의적인 시선도 존재합니다.
이런 우려를 넘기 위해선:
- 친구 간 댓글, 좋아요 기능 강화
- 커뮤니티성 콘텐츠 추천
- 개인화된 피드 제공
- ‘스토리 백업’ 등 데이터 저장 서비스 필요
👉 사용자들이 일기장처럼 오래 사용하게 만드는 UX 설계가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5. 싸이월드와 뭐가 다르고, 앞으로의 전망은?
플랫폼 접근성 | 웹 기반, 앱 별도 설치 필요 | 카카오톡 내장 기능 |
사용자층 | 10 |
전 연령대, 특히 2030+4050 |
기능 유지력 | 불안정한 서비스 지속력 | 카카오 생태계 기반으로 안정성↑ |
👉 요약하자면, 카카오톡은 싸이월드의 향수를 재해석한 버전이며
“미니홈피를 가장 현실적인 방식으로 복원한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s)
Q. 이 기능은 누구나 쓸 수 있나요?
A. 현재는 일부 사용자에게만 베타 오픈 중이며, 2025년 8월 중 전체 오픈 예정입니다.
Q. 도토리 같은 유료 아이템도 생기나요?
A. 아직까지는 무료 기반 기능만 적용됐지만, BGM 구독제나 감성템 상점 등은 향후 도입 가능성 있습니다.
Q. 내 스토리는 다른 친구들도 다 볼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글마다 공개범위 설정이 가능해서 '나만 보기', '일촌공개', '전체공개'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