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레인보우로보틱스 공모주 분석: 삼성이 찜한 로봇기업, 이번엔 다를까?
🤖 레인보우로보틱스, 어떤 기업인가요?
- 설립: 2011년
- 본사: 대전
- 주요사업: 휴머노이드 로봇 및 협동로봇 제조, 자율주행 시스템
- 대표 제품: HUBO 시리즈(휴머노이드), RB 시리즈(협동로봇)
- 주요 투자자: 삼성전자(지분 10.3% 보유)
👉 KAIST 휴보 연구진 출신들이 창업한 로봇 전문 기업으로,
국내 로봇 기술력 Top-tier를 자랑합니다.
💰 공모 정보 (2025년 4월 기준, 유상증자 형태의 일반공모)
공모가 확정 | 35,000원 |
청약일정 | 2025년 4월 25일(목) ~ 4월 26일(금) |
상장일 | 2025년 5월 2일 예정 (신주 상장) |
주관사 | 삼성증권 |
공모 방식 | 일반공모 + 구주주 배정 |
신주 수량 | 약 300만 주 |
공모 총액 | 약 1,050억 원 |
공모 목적 | 신규 로봇 라인업 개발, 해외 진출 자금 |
📌 기존 보유자는 신주인수권 부여 + 일반 투자자도 청약 가능
📌 청약 최소 단위: 10주 (35만 원)
📊 실적 및 재무 요약
매출액 | 160억 원 | 300억 원 | 500억 원 |
영업이익 | -45억 원 | -10억 원 | 흑자전환 예상 |
순이익 | -60억 원 | -18억 원 | ±0 근접 |
✔ 삼성 협동로봇 납품 계약 등으로 매출 급증 중
✔ 2025년부터 흑자 유지가 핵심 관건
🔍 수익모델 구조
1. 로봇 제조 및 판매
- 협동로봇, 연구용 휴머노이드 등 제조 → 기업/기관 납품
2. B2B 솔루션 수주
-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 (제조업·물류업 중심)
- 향후 AI +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으로 확대 예정
3. 글로벌 진출
- 일본, 미국, 유럽 로봇 기업과 파트너십 확대 중
- 삼성 네트워크 활용한 해외 영업 강화 기대
🧠 투자 포인트
✅ 강점
- 삼성전자 10% 지분 투자 → 장기 파트너 기대
- 국내 협동로봇 시장 내 기술력 선도
- 4차 산업혁명, AI·로봇 수요 증가 수혜주
❌ 리스크
- 기술 개발에 따른 고정비 부담 여전
- 수익성 안정화까지 시간이 필요
- 로봇 산업 자체의 상용화 속도 불확실성
📈 공모 후 주가 전망 시나리오
시나리오내용
성공 시나리오 | 삼성 협업 기대감 + 매출 증가로 주가 반등 가능성 |
중립 시나리오 | 단기적으로 흑자 전환 여부에 따라 주가 조정 |
부정적 시나리오 | 적자 지속 시 투자심리 위축 → 주가 압박 예상 |
👉 기존 보유자라면 단기 이벤트보단 장기 성장성 중심 투자 판단 필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이건 신규 상장이 아니라 기존 상장사 아닌가요?
A1. 맞습니다. 기존 상장사이지만,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공모를 진행하는 구조입니다.
Q2. 일반 투자자도 청약 가능한가요?
A2. 네! 삼성증권 계좌가 있다면 일반 투자자로 청약 가능합니다. 구주주가 아닌 경우에도 균등/비례 배정 받을 수 있습니다.
Q3. 삼성전자가 실제로 로봇 사업에서 함께할까요?
A3. 2024년부터 삼성전자와 협동로봇 납품 계약 체결 → 기술 협업 확대 가능성 매우 높음으로 분석됩니다.
✍️ 결론 요약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로봇 산업의 ‘삼성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 2차 공모지만 사실상 삼성-로봇 테마의 핵심 투자처
- 기술력 + 매출 성장 + 브랜드 협업 → 중장기 포지션 가능
- 단기적으로는 공모가 수준 지지 여부가 관건
👉 로봇 산업의 미래에 베팅하고 싶다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분명 눈여겨볼 종목입니다.